자바 썸네일형 리스트형 [Java] 조건문 제어문의 종류는 조건문과 반복문이 있는데 반복문은 다음에 알아보도록 하고, 이번엔 조건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조건문에는 if문과 switch문이 있다. 조건문 if문 if문은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블록 실행 여부가 결정된다. 다음은 if문의 형식과 실행 흐름을 보여준다. 조건식에는 true 또는 false 값을 산출할 수 있는 연산식이나, boolean 변수가 올 수 있다. 조건식에 true 이면 불록은 실행하고 false 이면 블록을 실행하지 않는다. 중괄호 { } 블록은 여러 개의 실행문을 하나로 묶기 위해 작성된다. 만약 조건식이 true가 될 때 실행해야 할 문장이 하나 밖에 없다면 생략할 수 있다. 하지만 중괄호 { } 블록을 생략하지 않고 작성하는 것을 추천한다.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더보기 [Java] 타입 변환 타입 변환이란 데이터 타입을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byte 타입을 int 타입으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int 타입을 byte 타입으로 변환하는 행위를 말한다. 타입 변환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자동(묵시적) 타입 변환이고, 다른 하나는 강제(명시적) 타입 변환이다. 자동(묵시적) 타입 변환 자동 타입 변환은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 자동적으로 타입 변환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자동 타입 변환은 작은 크기를 가지는 타입이 큰 크기를 가지는 타입에 저장될 때 발생한다. 큰 크기 타입과 작은 크기 타입의 구분은 사용하는 메모리으 크기이다. 예를 들어 byte 타입은 1byte 크기를 가지고, int 타입은 4byte 크기를 가지므로 int 타입이 큰 크기 타입이고, b.. 더보기 [Java] 데이터 타입 모든 변수에는 타입이 있으며, 타입에 따라 저장할 수 있는 값의 종류와 범위가 달라진다. 변수를 선언할 때 주어진 타입은 변수를 사용하는 도중에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변수를 선언할 때 어떤 타입을 사용할지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정수타입 정수타입에는 모두 다섯 개의 타입이 있으며 저장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서로 다르다. 메모리 크기 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정수 타입 byte char short int long 바이트 수 1 2 2 4 8 자바는 기본적으로 정수 연산을 int 타입으로 수행한다. 그렇기 때문에 저장하려는 값이 정수 리터럴이라면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int 타입 변수에 저장하는 것이 좋다. byte와 short가 int 보다는 메모리 사용 크기가 작아서 메모리를 절약할 수는 있.. 더보기 [Java] 변수란? 변수란? 프로그램은 작업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변수를 사용하는데, 변수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공간을 의미한다. 변수란 이름을 갖게 된 이유는 프로그램에 의해서 수시로 값이 변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의 변수에는 다양한 타입의 값을 저장할 수 없고, 한 가지 타입의 값만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 타입 변수에는 정수값만 저장할 수 있다, 실수 타입 변수에는 실수값만 저장할 수 있다. 변수의 선언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 변수 선언은 어떤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그리고 변수 이름이 무엇인지를 결정한다. 변수 선언은 다음과 같다. int age // 정수(int)값을 저장할 수 있는 age라는 이름의 변수 선.. 더보기 [Java] 프로그램 개발 순서 소스 작성부터 실행까지... 자바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해야 한다. 자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파일 확장명이 .java인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고 프로그램 소스를 작성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파일을 자바 소스 파일이라고 한다. 작성 완료된 자바 소스 파일은 컴파일러(javac.exe)로 컴파일 해야한다. 컴파일이 성공되면 확장명이 .class인 바이트 코드 파일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명령 프롬프트에서 Hello.java 소스 파일을 다음과 같이 컴파일하면 Hello.class 파일이 생성된다. javac Hello.java 바이트 코드 파일은 완전한 기계어가 아니므로 단독으로 실행할 수 없고 JVM이 실행되어야 한다. JVM을 구동시키는 명령어는 java.exe 이다.. 더보기 [Java] 자바 가상 머신, JVM 이란? 자바 가상 머신 (JVM) 운영체제는 자바 프로그램을 바로 실행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자바 프로그램은 완전한 기계어가 아닌, 중간 단계의 바이트 코드이기 때문에 이것을 해석하고 실행할 수 있는 가상의 운영체제가 필요하다. 이것이 자바 가상 머신(JVM)이다. JVM 은 실 운영체제를 대신해서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가상의 운영체제 역할을 한다. 영어권에서는 컴퓨터를 흔히 '머신'이라고 부르기때문에 '자바를 실행하는 가상의 머신'이라고 해서 'JVM'이라는 용어가 나오게 된 것이다. 운영체제별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관리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운영체제별로 자바 프로그램을 별도로 개발하는 것보다는 운영체제와 자바 프로그램을 중계하는 JVM을 두어 자바 프로그램이 여러 운영체제에서 동일한 실행 결과가 .. 더보기 [Java] 자바(Java)란? 자바(Java) 소개 1995년도에 처음 썬 마이크로시스템즈(Sun Microsystems)에서 자바(Java) 언어를 발표한 후, 지금까지는 자바는 성공한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자바는 1991년에 썬의 엔지니어들에 의해서 고안된 오크(Oak)라는 언어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오크는 처음에는 가전제품에서 사용될 목적이었다. 그 후 인터넷의 등장과 함께 인터넷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사용되었고, 이름도 자바로 변경하였다. 자바의 특징 1. 이식성이 높은 언어이다. 이식성이란 서로 다른 실행 환경을 가진 시스템 간에 프로그램을 옮겨 실행할 수 있는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윈도우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리눅스(Linux) 또는 유닉스(Unix)에서 실행할 수 있다.. 더보기 안녕하세요!! 지금은 아무것도 모르는, 길을 찾아 헤메고 있는 개발자지망 곰탱씨입니다. 개발자라고 하기엔 아직 부족하니까 저는 '개발자'의 '개'를 맡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저는 '개'입니다.... 아니면....발?? 아무튼 잘 부탁드립니다!! 더보기 이전 1 ··· 12 13 14 15 다음